메뉴 건너뛰기

난향방

수원성
2001.09.26 09:42

각루 벽에 그려진 귀면

(*.54.95.30) 조회 수 2051 추천 수 0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남문인 팔달문에서 동남각루까지 150m는 아직 미복원구간입니다.
최근 지동시장을 철거하고 정화작업을 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남수문이라든지 복원이 어려운 부분이 존재하기에
크게 기대하기는 어려운 형편...

좌우간 동남각루의 벽면에 그려진 귀면입니다.
조선시대뿐만 아니라 삼국시대부터 우리민족에게 친근한 문양으로 남아 있는 것이..
귀면과 귀신에 대해서는 좀더 공부를 해야할 모양입니다.
  • ?
    은하수 2001.09.26 10:30 (*.222.124.178)
    뭐 이리 귀여운(?) 귀신이 있디야?
  • ?
    모순미 2001.09.26 11:27 (*.192.104.67)
    흐미! 세상에 귀여운것 다 죽었는갑소.
  • ?
    은하수 2001.09.26 11:31 (*.222.124.178)
    눈도 동글동글, 코도 동글동글, 눈썹은 꽃모양이지...레이스 달린 이쁜옷 입고 게다가 웃고 있잖아요. 안 귀여워요?
  • ?
    宋梅 2001.09.26 11:38 (*.54.95.30)
    귀형의 얼굴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이른바 도깨비의 형상을 상상하여 의인화한 문양으로 그 형식은 가가 지역에 따라 특성을 나타내며 다양한 모습을 보여준다. 귀형은 주술적인 제기의 장식의장이나 건축 또는 고분에서 상징적인 그림으로 많이 나타나고 넓은 의미에서 귀신, 즉 도깨비는 천신, 지신, 산신, 제석, 시왕, 칠석, 성주등과 같은 민간 신앙 대상의 제신이 모두 포 함된다. 귀형의 상징적 의미는 신이 갖는 무한한
  • ?
    宋梅 2001.09.26 11:38 (*.54.95.30)
    힘을 빌어 수재, 화재,풍재 등 천재지변적 현상과 병란, 병역, 기근 등의 각종 재앙을 물리치고자하는 토속신앙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지금까지 전해오고 있다. 우리 옛 민속에 나타나는 도깨비의 형상은 참으로 다양한 모양으로 나타난다. 황소탈이나 사자탈이나 용면도 보이며 외뿔 도깨비, 쌍뿔 도깨비 또 다리가 하나밖에 없는 형상, 소복을 입은 여인으로도 묘사된다. 이렇듯 예전 사람들이 도깨비의 실상을 조형적으로
  • ?
    宋梅 2001.09.26 11:39 (*.54.95.30)
    표현하는 데에는 도깨비가 그 실체를 증명할 수 있는 존재가 아니기 때문에 많은 상상력을 발휘하고 있다. 대개 그러한 상상의 형상은 그 이전 구전으로 전해오는 신화나 설화를 바탕으로 한다. 그 가공적인 형상은 생각해내기 위한 가장 높은 모델은 무엇이었을까. 그 형상을 가장 가까이에서 찾을 수 있었던 것은 어느 무엇보다도 역시 사람의 모습이었다.
  • ?
    宋梅 2001.09.26 11:41 (*.54.95.30)
    신라 고구려
  • ?
    모순미 2001.09.26 12:11 (*.192.104.67)
    아! 불국사에서 본건 ..그럼 신라 도깨비... 참... 다, 다른 의미가 있었군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1 네팔 사진관 도르바 광장 1 file 宋梅 2004.08.11 1517
130 작업실 자전거에 사막을 싣고 -- 행창 file 宋梅 2002.02.05 1498
129 수원성 화양루 file 宋梅 2001.09.29 1493
128 실크로드, 티벳 여행기 민박집 1 file 宋梅 2003.08.16 1473
127 실크로드, 티벳 여행기 시간이 멈춰선 창탕고원 file 宋梅 2003.08.07 1462
126 실크로드, 티벳 여행기 카트만두에서 자전거타기... 4 宋梅 2002.07.09 1461
125 실크로드, 티벳 여행기 성호(聖湖) 마나사로바 file 宋梅 2003.11.14 1455
124 실크로드, 티벳 여행기 백수 신고.. 3 宋梅 2002.06.01 1448
123 수원성 창용문에서 만난 하늘 file 宋梅 2001.09.22 1437
122 수원성 공존하는 과거와 현재 1 file 宋梅 2001.09.20 1433
121 네팔 사진관 등산용품점 1 file 宋梅 2004.08.10 1425
120 수원성 동북공심돈 file 宋梅 2001.09.20 1415
119 실크로드, 티벳 여행기 [참고] 고산병(高山病)에 대하여... 1 file 宋梅 2003.08.05 1413
118 실크로드, 티벳 여행기 제 6일 : 둔황(敦煌) 1 file 宋梅 2002.07.25 1402
117 네팔 사진관 우물가... file 宋梅 2004.08.11 1396
116 네팔 사진관 카마수트라 2 file 宋梅 2004.08.10 1382
115 실크로드, 티벳 여행기 또다시 예챙으로... 1 file 宋梅 2003.02.28 1355
114 네팔 사진관 황금문양 file 宋梅 2004.08.11 1345
113 수원성 수문을 통해본 세상 바깥쪽 7 file 宋梅 2001.11.30 1340
112 실크로드, 티벳 여행기 중국에는 커피믹스가 없다. 2 file 宋梅 2002.07.20 133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3 Next
/ 1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