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난향방

2004.05.30 05:38

난초 단상(2)

조회 수 1562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나는 2년 여전 사업관계 일로 동남 아시아의 Myanmar를 방문하고  몇 일간 지방을 여행 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수도 Yangon에서 비행기와 승용차를 번갈아 타며 하루가 걸리는 Thailand와의 접경에 가까이 한 곳을 찾아 갔습니다.
그 때 당시는 외국인들이 그 나라의 지방으로 여행이 자유롭지는 않았습니다.
외국인은 특정지역을 방문 또는 여행 할 때는 정부의 허락을 받아야 했었고 또 여행 도중 어떤 지역을 지나갈 때면 그 지방정부에서 부과하는 출입(방문) 세금을 물어야 했습니다.
또한 이 나라의 어느 지역에서건 외국인은 아무 호텔이나 특히 개인의 집에서는 먹고 자고 할 수가 없게 되어 있으며, 단지 정부의 허락된 곳에서만 외국인을 받아 줍니다. 이런 규제들 때문에 여행의 목적지와는 상관없는 곳에서 머물때도 있었고 또 움직여 져야 할 때도 있었습니다.

내가 하루가 걸려서 도착한 이 곳에서는 서울의 일류 호텔들 처럼 고층으로 화려한 외모를 갖춘 것은 아니지만 시설과 환경은 깜작 놀랄 수준급의 호텔이 있었습니다.
이 호텔이 자랑하는 것은 잘 가꾸어진 정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였고, 영국인이 설계를 하고 관리 해 오던 정원이라고 합니다.
이 나라는 2차 대전 직후까지 영국이 200년 동안 지배를 했기 때문에 아직도 그 흔적들을 쉽게 만날 수 있기도 합니다.
그 지역을 대표하는 이 호텔에서는 그 지방의 고유한 식물들을 육성, 재배하고, 관리하며 연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답니다.
다른 나라들 같으면 국가에서 해야 할 일들을 한다는 정원 관리자의 설명 이였습니다.

내가 정원을 거닐고 있었을 때 관리자 한 분이 안내를 도와 주었습니다.
정원의 중심부에는 아주 큰 나무들이 숲을 이루고 있었고 그 중 한 아름드리 나무의 몸둥아리 중간 윗 부분에 붙어 자생하고 있는 "난초"를 가르키고 있었습니다.
호텔을 영국인이 소유하고 관리해 오던 당시에 발견 되었다는 이 "난초'는 영국 사람들로 부터 국보급으로 취급 관리되어 왔었고, 지금도 그러하다고 합니다.
그 분의 설명은 너무 진지하였고 자랑스러워 하는 모습, 당당한 자부심과 긍지를 가진듯 했습니다.
거기에 덩달아 맞장구로 감탄사를 연발하며 응대를 하였던 나는, 사실 "난"에  관해 서는 아무것도 아는것이 없었고, 관심도 없었을 때 였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그때 설명에 좀 귀담아 듣고, 그것들에 대한 특이점들을 알아 두었더라면 ... 그 꽃들의 아름다움은 말로 표현 할 없을 정도라고 강조 했었지만 아쉽게도 나는 계절 탓으로 보지를 못했습니다.

정원을 산책한 이틀 후 호텔을 떠나려고 하는데 지배인이라면서 정원을 안내해 줬던 그 관리자와 함께 나를 찾아 왔습니다.
순간적으로 아차, 무슨 문제가 생긴 것이로구나, 무슨 잘 못된 일이라도!
짧은 순간에도 별아 별 생각이 다 지나 갔습니다.
그런데 바로 그 보물로 관리 한다는 "난초" 한 본을 잘 포장해서 나에게 건네는 것이 였습니다.
" 아니, 이 "난초"는 이 나라 보물 이라면서 나에게 왜!"
너무 당황한 나머지 이런 저런 생각도 해보지 못한채 얼떨결에 받고 말았습니다.
나와 동행한 현지 안내인의 설명으로는 내가 정원을 거닐면서 그 "난초"에 너무 많은 관심을 보였고 또 가지고 싶어 하는듯해서 마련한 것이라고 했습니다.
글세, 내가 너무 그랬었나!, 아~닌데...늦었습니다.

어쨌든 호텔에서 준비해준 승용차 트렁크에 내 간단한 Sack 하나와 포장된 Burma "난초' 한 본이 실리고 그렇게해서 그 곳을 떠났습니다.
세 네시간 승용차에 시달리고 나서야 Yangon으로 가는 공항에 도착 했습니다. 공항 입구에서 청사까지는 약 5분 정도 잘 다듬어진 모래흙 길을 걸어야 했고 동네 아이들이 내 sack을 서로 메겠다고 야단 법석들 이였습니다.

혹시, 현지인들의 말과는 다르게 공항에서의 휴대품 검사 과정에서 난초가 말썽이 되지나 않을까 불안함이 일기 시작 했습니다.
자칫하면 이것이 "화" 덩어리로 변할 수 있다는 부정적인 생각이 갑짝이 치 밀어 나오는데 영, 입 속이 깔깔해 지고 참을 수가 있어야지 이러다간 여행의 즐거움이 확 깨질듯 했습니다.
애라, 않되겠다, 버리자!
동행 안내인이 눈치 채지 못하게 몰래 해 치워버리려고 "난초" 보따리를 들고 외국인 전용 변소를 향 했습니다.
아~뿔사아! 외국인 변소에는 보따리는 "사양" 이랍니다.
이것도 안돼네, 우물 쭈물 사이에 내 차례가 오고 말았습니다.
뒤지기를 시작하더니 누구 것이냐고, 내 것이라고 대답을 했습니다.
언 찮다는 표정으로 여권을 내라고 합니다.
자, 이제는 업질러진 물이라 줏어 담을 수도 없고 끌려가서 얻어 터지지나 않으면 좋으련만 잔뜩 겁을 먹었습니다.
내 안내인과 조사관들이 자기네 말로 몇 마디씩 나누고서는 뒷편쪽에 있는 사무실을 가르키며 들어 가라는 시늉을 합니다.
야, 이젠 죽었구나, 진작에 멀리 멀리 버리고 올걸,
목이 탓습니다.
내 안내인과 협상이 시작되는 듯한 눈치 입니다.
내 여권이 다시 나에게로 되돌아 왔습니다.
통과"권'을 땄습니다.
맨 입으로 된 일은 아닙니다.
탑승 대기실로 통하는 다른 문으로 편안히 비행기에 올랐습니다.
비행기는 몬순 기류에 요동치고 있었습니다.
내 안내인이 조용히 물어 왔습니다.
보물을 미국에 가지고 갈 것이냐고, 나는 펄쩍 뛰었습니다.
그러면 Yangon에 가서 버릴거냐고,
그럴 생각인데 뭐 더 좋은 방법이 있냐고 물었습니다.
자기가 가지겠다고 하더군요,
얼른 그러라고 했습니다.
그 이후에도 여러 차례 Yangon에 갔었습니다.
나와는 인연이 닫지 않았던 그 "난초"는...아마도,
아무런 소식을...듣지를 못했습니다.








  • ?
    은하수 2004.05.30 18:13
    아깝다... 귀한 난초였던 것 같은데요.
    옛날 유럽 귀족(?)들이 많은 돈을 들여 동남아시아로 아프리카로 남미로 난초채집을 보냈다죠.
    지금의 우리 못지않게 난초에 열광하고 새로운 종을 찾기 위해 때론 목숨까지 걸었다고 들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아닐런지요...??

    아마도 안내인이 무척 갖고 싶었었나 봅니다.
  • ?
    nicki 2004.05.31 10:29
    영국계의 식민지는 으례 정원문화가 발달되었지요,인도에는 멋진 영국식 정원들이 즐비
    하답니다,..왠만틈 사는 집에 가면 온실에 많은 란들이 있더군요 란에 관련된 도서도 많이
    있구요,,처음보는 아니 세상에 이런 란꽃도 있구나 할 정도로,,,,,
    저는 이쁜 꽃이 있길래 씨앗을 구하여 한국에 뿌려 보니..영....아니더군요,,..
    담에 가면 김치봉투 들고 어케 한번 도전을 할 생각입니다요,,,,,담~~어..???..
  • ?
    ondol 2004.06.01 17:05
    아까운 생각이 드시겠습니다.
    니키성! 김치 뿌려봤자 김치 열리진 않겄지유?ㅋㅋㅋ~~
    우리 춘란 종자나 함 파종해보심 어떨까요?..안되지..그건
    괞히 누구 좋으라고....
  • ?
    월곡 2004.06.02 14:33
    사회주의국가들은 아직도 뭔가 이상한 부분이 많은 것 같어유.
    그러니 뒤떨어질 수 밖에 없지요.
    돈좀 주면 다 통하기도 하나봅니다.
  • ?
    nicki 2004.06.02 23:08
    온돌님..으~째 꺼꾸로..

    현지에서 김치봉투에 담아 가져 와야지 공항에서 무사 통관이 되지요,,.

    (세관)..이기 머꼬? --- 닌 아직 모르는 갑지.. 한국 신조 퓨전 김치 아니가...촌넘 이라카이.
    (세관)..넬 무시하나! 네도 다~ 안다카이. 디기~ 맛 됴타 아이가 맞제?.-- 이넘 설 넘이네?.

List of Articles
조회 수 날짜 글쓴이 제목
705 2001.09.07 권순열 메뉴판(?)이 바뀌었네요. 16
1232 2001.09.06 宋梅 D+10일 별 변화가 없어서리.... 6 file
1066 2001.09.06 鄭梅 송매님 금연작전은 어떠하신지요.
914 2001.09.05 임향만 일기.. 15
1291 2001.09.04 권순열 안녕하세요...못생긴 사진이지만 몇칠만이라도.. 16 file
1147 2001.09.04 임향만 권순열씨...축하 합니다 14
961 2001.09.03 노영복 벌초.... 11 file
2049 2001.08.29 들풀처럼... 연꽃의 의미 9 file
777 2001.08.28 임향만 남자 그리고 여자.. 5
824 2001.08.27 들풀처럼... 하고 싶은, XX 싶은 말, 얘기... 어느 것, 마다 하지 않습니다. 4 file
875 2001.08.24 宋梅 빛바랜 책과 사인 하나... 3 file
886 2001.08.24 宋梅 다시 제자리에서... 4 file
1372 2001.08.22 宋梅 나는 바다를 건넜다. 32
1057 2001.08.21 백묵소 세월의 무게를 느낄때면... 16
1059 2001.08.21 난그리안 성현님께 위로의 말씀을 전하면서... 2
975 2001.08.21 김성현 참으로 허무한 시간이였지요... 20
1053 2001.08.20 宋梅 땀흘리고 마시는 콜라 맛!!! 10
767 2001.08.18 난그리안 가을엔 이런 가슴을 준비해 보세요... 7
646 2001.08.17 노영복 시련이 가져온 성공...... 3 file
1178 2001.08.14 노영복 님께서는? 20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27 Next
/ 2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