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난향방

2001.08.02 11:09

난과 식물의 채광...

조회 수 1834 추천 수 0 댓글 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강광 :  조일전, 금두, 금루각, 금유황, 부악,  차광 30 %(40,000 - 50,000 Lux)  
 중광 :   나머지 전체 품종                          차광 50%(25,000 - 35,000 Lux)
약광 : 당금, 동해, 조일전복륜, 직희            차광 70%(20,000 Lux)
공히 6시간 채광을 기준으로 한것입니다.

참고로 위의 자료는 생육에 필요한 채광량이 아닙니다. 품종에 따라서 예가 가장 잘 나타나는 채광량을 기준으로 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금두의 경우도 중광이나 약광에서도 잘 자랍니다. 다만 후발성이라는 특성때문에 강광에서 재배하면 호가 잘 나타납니다. 또한가지는 거의 모든 품종이 이론적으로는 빛이 강할수록 잘 자라지만 실제로 품종에 따라 조금만 빛이 강해도 잎이 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에 잎이 타지 않을 정도의 강한 빛이 최적이라 할 수있을 것같습니다.

풍란에 관한 자료는 http://www.pungnan.pe.kr/~pungnan/text/light.htm에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또한 http://www.pungnan.pe.kr/~pungnan/text/lightstandard.htm도 참고가 되실것같습니다.

일반적으로 난과 식물이 가장 잘자라는 채광량은 12만 Lux Hour
즉 2만 룩스 여섯시간이 가장 적합합니다.
상황에 따라 3만룩스 네시간도 가능하구요.

물론 다 아시는 이야기지만 어지간한 품종도 서서히 광량을 늘려가면 대부분 적응을 하지만 아무리 빛에 강한 품종이라도 약광에 재배하다 갑자기 강광에 내보내면 잎이 타거나 낙엽질 수 있습니다.
또 한가지는 빛이 약해도 습도가 너무 낮으면 잎끝이 타는 수가 있습니다. 결국 빛과 온도와 습도 세가지의 상관관계를 잘 고려하셔야할 것같습니다.
들풀님의 경우 평소에 차광을 하지않고 배양하셨기에 아마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습도유지와 온도상승에만 좀더 신경을 쓰신다면...
  • ?
    김근한 2001.08.02 11:30
    에구구..저도 이제보니 당금이 약광에 돼잇네요.전 여지껏 발색호피반(화의,금루각,당금등..)은 강광으로 알고있었는데...들풀님 당금은 발색시 외엔 약광으로 정정합니다(당금은 여름에 발색시켜야 잘 나온다네요)
  • ?
    들풀처럼... 2001.08.02 12:22
    역시, 짱~입니다요~!
  • ?
    들풀처럼... 2001.08.03 13:32
    어제 저녁 저녁놀이 일 낼 것 같은 기대로 카메라를 들고 한강으로 갔습니다. 장마 끝날 놀이 쥑이는 경우가 많아서..., 담 뻘~~~펄 흘리고, 그 땀이 아까워 딱, 2컷만 담고 집에가서 光분리를 하는데 처음 몇 가지는 좋았는데, 제기헐~! 대부분 약광이라 하니... 에~~고~
  • ?
    이동익 2001.08.03 22:17
    "일반적으로 난과 식물이 가장 잘자라는 채광량은 12만 Lux Hour " 이 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알고 싶은데 어찌하면 조을까요?
  • ?
    宋梅 2001.08.04 11:07
    저도 강의중에 들은 이야기라서 정확한 reference는 가지고 있지를 못합니다. 광포화점이라는 것이 있어서 순간순간의 광량의 증가에 동화작용이 증가하는데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2만룩스 여섯시간정도가 가장 적정하다는데는 이의가 없지만 대개의 식물의 광포화점이 4만룩스정도라고 생각할때 12만Lux 한시간은 해당사항이 없을 겝니다. 따라서 2만 룩스 여섯시간에서 시간과 광량을 조절하는 기준정도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즉 4만룩스 세시간까지는 가능할 것같습니다. 뒤집어서 하루 서너시간 이상의 채광이 필요하다는 기준도
  • ?
    宋梅 2001.08.04 11:10
    여기서 나온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광포화점이상의 강한 빛을 주어도 식물체가 생육에 필요한 탄소동화작용은 광포화점상태에서 더 이상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최소한의 시간도 계산이 가능할 것같습니다.
  • ?
    들풀처럼... 2001.08.04 22:16
    음~~! 쏭~ 매~이~~!
  • ?
    果川 2001.08.05 17:37
    송매님 말씀데로 광량보다는 일조시간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 ?
    이동익 2001.08.06 13:55
    일조시간부분에 대해 이해가 안가서요... 일반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논, 밭, 과수원, 비닐하우스등은 동서남쪽이 시야가 트여 있어 일조시간이 긴 곳을 선호합니다. 일조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광합성하는 효율은 떨어지겠지만, 일조시간이 길수록 생육이 우량해서 그러지 않을까 합니다. 일조시간을 어느 정도는 확보하여야 한다는 것에는 동감합니다만, 해가 오랫동안 비치는 난실이나 대부분의 난과식물 재배장 같은 곳에서는 일조시간이 긴 하지 전후 일정기간동안에는 일조시간을 줄이는 것이 유리하다는 이야기가 되는것 같은데....
  • ?
    宋梅 2001.08.06 14:32
    너무 깊이 들어가니까 저부터 헷갈리시 시작했습니다...ㅎㅎㅎ 일조시간이 긴 것이 유리할 것이라는데는 동감입니다만 일조시간이 너무 길어지는부분은 저도 관심을 갖지 못해서리... 아파트에서 배양하다보니 여섯시간도 안되다보니..쩝쩝 일조시간부분에 대해서는 좀더 알아보겠습니다.
  • ?
    宋梅 2001.08.06 18:09
    자료를 찾다보니 우리나의 년간 일조시간은 2,400시간에 불과합니다. 즉 흐린날 빼고 비오는날 빼고 등등등... 결국 계산을 해보면 하루평균 7시간이 안됩니다.
  • ?
    들풀처럼... 2001.08.06 22:13
    방금, 난 진열대를 창측으로 옮겼습니다. 다 큰 놈들과 회식 역시 시금털털합니다. 지 놈들은 고리탑탑했을지 모르죠 ~! 결국 나 혼자 옮겼습니다. 지 놈들은 식사 끝나고 볼 일(?) 보러 갔고...
  • ?
    이규환 2001.08.07 02:04
    아마도 단위시간당 포화량 이상의 광량은 접수가 안되지만 시간이 길어지면 포화량에 이르기 전까지의 광량은 유효하고, 또 전체의 합은 계속 증가하는 것이 아닐까요? (아~~ 4지선다형 찍기 세대의 비애여! 여러가지 답 사이에서 찍기밖에 못하니...)
  • ?
    이동익 2001.08.07 11:10
    제가 물귀신이 되었읍니다 자꾸 깊은곳으로 유인하더니 결국 나도 허우적... ㅎㅎㅎ 어디선가 6시간 이상의 일조량은 필요없다는 말을 들어 궁금하던 차에 그 말 비슷한 글이 올라왔길래 .... 아마 대부분의 난실이 일조량이 짧다보니 그 관점에서 나온 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 ?
    들풀처럼... 2001.08.07 13:09
    동익님~! 우진오님은 좋겠습디다~! 참, 좋겠습디다~! 놀러 오라 전홛 주시고, 눈비비고 찾아보면 눈이 번쩍 뛰는 것도 찾을 수 있어서...
  • ?
    이동익 2001.08.07 13:33
    히히 죄송합니다. 요번엔 옥수수 흔들면서 놀러 오시라고 전화 드리겠읍니다.
  • ?
    들풀처럼... 2001.08.07 15:52
    근데, 요ㅗ번 주말에는 진짜로 지리산으로 들어 가겠습니다. 2박 2 1/2일 산행입니다. 옥수수는 819에 더 잘 여믄다 합니다. 믿거나 말거나~! 암튼,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8 물받침은 4 궁금이 2003.02.23 1676
437 은난초 2 file 임향만 2001.05.15 1687
436 통영풍란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3 김봉효 2001.12.20 1687
435 식재비율은 어떻게하나요. 1 초보자 2003.01.30 1687
434 이것도 병일까요? 8 file habal 2005.07.08 1687
433 민달팽이.. nicki 2001.04.12 1697
432 질문 있습니다 1 김태훈 2003.11.05 1699
431 한 촉에서 두가지 뿌리가 가능한지요~! 2 들풀처럼... 2001.11.22 1704
430 이넘도?? 2 file 노영복 2002.02.25 1705
429 무슨속? 1 file 蘭草 2003.11.24 1708
428 이넘 이름이 뭐에여?? 3 file 노영복 2002.02.25 1709
427 밑붙기(계단붙기)의 원인과 대책좀... 김근한 2001.05.24 1710
426 언제나 두촉뿐인 서 4 file 오솔길 2001.11.18 1719
425 서출도 변이종 및 변이도 宋梅 2001.04.15 1721
424 꽃대가 궁금합니다....... 9 이종필 2001.09.24 1721
423 난의 유통구조에 대해 알고 싶은데... 3 김태은 2001.12.01 1732
422 군기 2 표지연 2002.03.07 1737
421 새촉좀 살려주세요... 2 초보자 2003.04.17 1737
420 이름표를 달아주세요 4 file habal 2005.03.03 1747
419 카틀레야 5 file 雲海 2003.12.26 175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7 Next
/ 27
위로